해외건설 세 번째 1조 달러 돌파 비결 공개!

Last Updated :

해외건설 누적 수주 1조 달러 달성

우리나라의 해외건설 부문이 주목할 만한 성과를 올렸습니다.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에 이어 세 번째로 1조 달러를 달성한 이번 성과는, 우리나라의 해외 건설 능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했습니다. 지난해에만 371억 1000만 달러를 수주하여 전년 대비 11.4%의 성장을 이룬 이 기록은,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2016년 이후 최대 수주액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누적 수주는 1조 9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1965년 현대건설이 태국의 파타니-나라티왓 고속도로 공사에 진출한 이래 59년 만에 이룬 쾌거입니다.

해외건설 시장의 변화

해외건설 시장은 수많은 양적 및 질적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해외건설이 누적 1조 달러를 수주하기까지 양적·질적으로 다양한 변화와 성장을 겪어왔다. 중동과 아시아 지역으로의 진출은 전체 수주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북미, 유럽 등으로의 활발한 다변화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196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는 주로 토목 및 건축 분야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이후 원유 수요 증가와 기업 기술 발전 덕분에 플랜트 분야에서의 강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께, 엔지니어링 분야로의 진출도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 해외건설 성장은 원유 수요 증가에 의해 가속화되었습니다.
  • 기업들은 단순 도급사업에서 투자개발사업으로 관심을 넓히고 있습니다.
  • KIND 설립과 정부 지원이 해외건설 기업의 진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국가 및 기업별 수주 실적

해외건설의 수주 성과를 국가 및 기업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사우디아라비아가 17.7%로 1위이며, UAE(8.4%), 쿠웨이트(4.9%), 싱가포르(4.8%), 베트남(4.8%) 순으로 아시아와 중동 지역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3년 동안은 미국과 유럽으로의 수주 다각화 역시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기업별 누적 수주액에서는 현대건설이 14.5%로 가장 많고, 삼성물산, 삼성E&A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최근 3년 기준에서는 삼성E&A가 두드러진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역대 수주 실적

해외건설 분야에서의 역대 수주 실적을 살펴보면, UAE 원자력 발전소가 191억 3000만 달러로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후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 등이 상위 순위에 올라 있습니다. 특히 파딜리 프로젝트는 이번 수치로 보았을 때, 역대 수주 규모 3위에 해당하며, UAE 바라카 원전,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등과 함께 한국 기업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습니다.

해외건설의 경제적 기여

세계 건설수지 순위 경상수지 대비 건설수지 비중 국내총생산(GDP) 대비 건설수지 비율
1~2위 유지 13% 0.24%

해외건설은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에 많은 기여를 해왔습니다. 특히, 2012년부터 계속해서 세계 건설수지 순위 1~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 경상수지 대비 건설수지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해외건설이 경상수지 흑자 확대에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 또한, 명목 GDP 대비 건설수지 비율이 높은 것도 해외건설의 기여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세계 경기 여건과 건설 외교

2023년에 접어들면서 세계적인 경제 둔화와 여러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우리나라의 건설 외교와 민·관협력은 긍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254개 기업이 101개국에서 605건의 사업을 수주한 것은 그 자체로도 큰 의미를 가집니다. 중동 지역 수주 실적이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하면서, '제2 중동 특수'의 가능성도 높아지는 상황입니다.

향후 해외건설 시장 전망

향후 해외건설 시장에 대한 전망은 밝습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앞으로도 우리기업을 지원하여 K-도시 및 K-철도, 투자개발사업 등을 통한 해외건설 2조 달러 시대를 이끌어가겠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계획은 우리의 해외건설 분야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최근 기업들이 도시개발, 철도 등 새로운 시장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합니다.

해외건설 수주 실적의 통계

해외건설 수주 실적에 대한 통계는 미래의 정책과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됩니다. 정확한 통계는 우리나라가 어떤 분야에 얼마만큼의 강점을 갖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정책적 지원과 기업의 역할

기업의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KIND와 같은 기관의 설립은 해외건설 시장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업과 정부 간의 협업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해외진출 전략을 세울 수 있으며, 이는 국가 경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건설 산업의 새로운 동력

현재 우리나라의 건설 산업은 이제 전통적인 건설업을 넘어서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신산업 분야 진출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친환경 산업 및 기후 변화 대응 등 새로운 동력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앞으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숏텐츠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은 얼마인가요?

우리나라의 누적 해외건설 수주는 1조 9억 달러에 달합니다.

2023년에 우리나라의 해외건설 수주는 얼마나 증가했나요?

2023년의 해외건설 수주는 전년 대비 11.4% 증가한 371억 1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해외건설 수주에서 가장 강세를 보이는 지역은 어디인가요?

중동 및 아시아 지역이 전체 수주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강세를 보입니다.

해외건설 세 번째 1조 달러 돌파 비결 공개!
해외건설 세 번째 1조 달러 돌파 비결 공개! | 파일나라 : https://filenara.com/11381
파일나라 © filenara.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