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질환 66개 국가관리대상으로 지정되다!

Last Updated :

희귀질환 신규 지정을 통한 관리 강화

질병관리청은 2023년 2일에 희귀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희귀질환자에 대한 진단 및 치료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66개 질환을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으로 추가 지정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지정은 희귀질환 관리법령에 따라 매년 실시되고 있습니다. 해당 법령은 2018년부터 시행되어 매해 추가로 공고되고 있으며, 신규 지정 신청은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을 통해 진행됩니다. 질환이 국가관리대상으로 지정되면 국민건강보험 공단의 산정특례제도가 적용되며, 의료비 지원 사업 등 여러 국가 지원 프로그램에 연결되어 환자와 가족의 의료비 부담이 큰 폭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희귀질환자 통계 현황

신규로 지정된 66개 질환을 포함하여,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의 수는 지난해 1248개에서 올해 1314개로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희귀질환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2022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를 통해 나타난 희귀질환자의 발생, 사망 및 진료 이용 현황에 대한 자세한 통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보는 2020년 12월 이후 매년 발간되고 있으며, 발생자 수는 5만 4952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 희귀질환 신규 발생자는 건강보험가입자가 5만 678명으로 전체의 92.2%를 차지합니다.
  • 극희귀질환은 신규 발생자의 3.8%이며, 기타염색체 이상질환은 0.2%입니다.
  • 사망자는 1902명으로, 이 중 60세 이상이 85.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희귀질환자로 지정받은 환자는 국가로부터 의료비 지원 및 산정특례의 세금 범위 내에서 본인 부담금이 경감됩니다. 산정특례에 따르면 총 진료비의 10%만 본인이 부담하게 됩니다. 중위소득 120% 미만의 환자들은 추가적인 의료비 지원을 받게 되며, 이를 통해 환자와 가족의 재정적 부담이 상당히 완화될 것입니다. 더욱이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치료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2022년 희귀질환자 통계 세부 사항

2022년 희귀질환자의 발생, 사망, 진료이용 현황에 대한 세부 통계를 제공합니다. 연보에 따르면 2022년 신규 발생자 중 극희귀질환 환자는 2074명이었습니다. 신규 발생자는 성별로 남자가 49.8%, 여자가 50.2%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향후 희귀질환 정책 및 지원 방안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희귀질환 통계의 중요성

현황 수치 비율
신규 발생자(전체) 5만 4952명 100%
극희귀질환 발생자 2074명 3.8%
기타염색체 이상질환 88명 0.2%

희귀질환 통계는 환자 및 가족의 지원 방안을 효율적으로 마련하는 데 중요한 자료 역할을 합니다. 정확한 통계 자료를 통해 희귀질환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정책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 정책

지영미 질병청장은 지속적으로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을 발굴하여 지정하고 지원 제도를 정기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 희귀질환자와 가족이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환자와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책의 원활한 진행이 반드시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문의 및 정보 확인 방법

희귀질환 관련 문의 및 정보 확인은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희귀질환관리과(043-719-8782, 8783)로 가능하며, 해당 정보는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의 건강을 위해 적극적인 정보 공유와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정책 뉴스 자료 이용 및 저작권 사항

정책 브리핑의 정책 뉴스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표시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은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으며, 기사 이용 시 출처를 꼭 표기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이 위반될 경우 저작권법에 의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올바른 정보 사용을 통해 투명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희귀질환 관리의 미래 방향

향후 희귀질환 관리의 방향은 지속적으로 환자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구체적인 통계에 기반하여 정책을 수립해 나가는 것으로 설정되고 있습니다. 희귀질환자 및 그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관리 시스템을 강화를 통해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숏텐츠

질문 1.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으로 어떤 질환들이 추가 지정되었나요?

답변 1. 올해 66개의 질환이 추가 지정되어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은 총 1314개로 늘어났습니다.

질문 2. 희귀질환으로 지정되면 환자에게 어떤 혜택이 있나요?

답변 2. 희귀질환으로 지정되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산정특례제도 적용 및 질병청의 의료비 지원 사업 등의 국가 지원 정책을 통해 의료비 부담이 줄어듭니다.

질문 3.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답변 3.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는 질병관리청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 서대문구 영어학원

진주시 스터디 카페

구미시 수학학원

용산구 스터디 카페

사천시 스터디 카페

희귀질환 66개 국가관리대상으로 지정되다!
희귀질환 66개 국가관리대상으로 지정되다! | 파일나라 : https://filenara.com/10713
파일나라 © filenara.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